안녕하세요. 고쟁이입니다.😎
오늘도 여러분이 자본주의에서 생존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PMI 지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ISM 구매관리자 지수(PMI) 란?
지원대상 👨👩👦
✔ 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카타파하!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단, 가나다라마바사! ⭐
ISM 구매관리자 지수(PMI) 란?
※ISM구매관리자지수는 PMI(Perchasing Management Index)와 동일한 명칭
먼저 ISM은 공급관리자협회(Institute of Supply Management)를 의미하며, 미국 전역의 구매관리자들을 대표하는 민간단체이다. ISM은 매달 미국 50개주 20개 산업을 대표하는 약 400여개 기업의 구매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아래 항목들의 개선/변동없음/악화 여부를 평가하여 구매관리자 지수를 매달 초에 발표한다.
PMI지수는 제조업과 비제조업(서비스업)으로 구분하여 발표한다.
제조업 PMI 항목 구성 및 계산 방식
항목 | 설명 | 가중치 | |
1 | 신규주문(New Orders) | ISM에 의한 신규주문 | 20% |
2 | 생산(Production) | 제조업 생산 | 20% |
3 | 고용(Employment) | 기업의 고용 | 20% |
4 | 공급자 운송시간(Supplier Deliveries) | 공급자로부터의 운송 속도 | 20% |
5 | 재고(Inventories) | 기업의 재고율 | 20% |
6 | 소비자재고(Customers' Inventories) | 납품업체의 재고 수준 추정치 | 미반영(추가 자료로 제공) |
7 | 자재가격(Prices) | 자재에 대한 제조업체들의 지불비용 | 미반영(추가 자료로 제공) |
8 | 수주잔량(Backlog of Orders) | 아직 처리되지 않은 주문 | 미반영(추가 자료로 제공) |
9 | 신규수출주문(New Export Orders) | 외국으로부터의 신규주문율 | 미반영(추가 자료로 제공) |
10 | 수입(Import) | 구매관리자가 외국으로부터 구매한 자재 | 미반영(추가 자료로 제공) |
※ PMI 지수를 계산할 때에는 위 표의 1~5 항목만 반영되며 각각 20% 동일한 가중치로 적용
※ 50이상은 확장국면 / 50이하는 수축국면을 의미
각 기업의 구매담당자들의 답변을 취합하여 개선 / 변동없음 / 악화에 각각 1 / 0.5 / 0 가중치를 적용한다.
예를 들어, 400개 기업 설문조사에서 각각을 선택한 기업수가 [개선 = 50 , 변동없음 = 200, 악화 = 150]와 같다면
PMI = (50*1 + 200*0.5 + 150*0)/400 * 100 = 37.5
✔ 위 항목에 대한 추가 설명
◾ 신규주문(New Orders)
: 미래 생산활동에 가장 유용한 선행지표 중 하나
◾ 고용(Employment)
: 기업의 신규 노동자의 고용 또는 해고 여부를 판단할 때 주목
◾ 공급자 운송시간(Supplier Deliveries)
: 미래 인플레이션 전망에 유용한 지표 중 하나. 구매관리자가 자재 경험하는 공급자 운송시간의 변화를 나타내며, 50 이상일 시 과거보다 더 오랜시간을 기다려 자재를 공급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통 수요의 상승으로 공급자들이 적시에 자재를 공급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을 때 상승할 수 있으며, 제품 가격이 공급자들에 의해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
◾ 소비자재고(Customers' inventories)
: 납품업체의 재고 변화를 나태내며, 구매관리자들은 이 지수가 50이하로 떨어지는 상황을 긍정적으로 해석한다. 재고가 감소하면 향후 신규주문 증가로 이어질 것을 예상하기 때문.
PMI 지수 확인 방법
ISM 사이트: https://www.ismworld.org/supply-management-news-and-reports/reports/ism-report-on-business/
ISM Report On Business®
The ISM® Report On Business® – Manufacturing (PMI®) and Services (PMI™) – are two of the most reliable economic indicators available, providing guidance to supply management professionals, economists, analysts, and government and business
www.ismworld.org
위 사이트 접속 후 아래 3가지 PMI 지수에 대한 자세한 레포트와 요약된 차트를 확인할 수 있다.
22년/11월 첫째주 발표된 10월 제조업/비제조업 PMI지수이다. 위의 'View Charts'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다.
제조업 PMI지수는 국내총생산(GDP)의 뛰어난 선행지표로 활용되기도 하면서 경제의 터닝포인트를 전망하는데에 좋은 지표다. 사실 미국은 80%이상이 서비스업인 나라이지만 서비스업은 제조업보다 경기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기 때문에 선행지표로 활용하기에는 신뢰도가 낮다고 볼 수 있다.
✅ 그렇다면 서비스업 PMI지수는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
보통 제조업지수가 상승하면 비제조업지수가 상승하고 제조업지수가 하락하면 비제조업지수가 하락하는 것이 일반적인 패턴이다. 하지만, 비제조업지수가 상승한다고 제조업지수가 무조건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지는 않는다.
경제 상황을 제조업PMI지수로 확인/예상했다면, 비제조업PMI지수로 확신의 과정을 가지면 좋다.
제조업지수가 상승하는 상황에서 비제조업지수 마저 상승한다면 경기가 개선된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제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그럼 모두 부자되시고,
저는 더 좋은 정보 가지고 돌아오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글로벌 경제 > 경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달러(Dollar) 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0) | 2022.11.27 |
---|---|
JOLTs(구인 및 이직동향 보고서) 제대로 알기 (0) | 2022.11.06 |
레포(Repo) 역레포(Reverse Repo) 시장 이해 (0) | 2022.10.30 |
금리 기초 - 실질금리(TIPS), 명목금리 (1) | 2022.10.30 |
물가지수(CPI PPI PCE) 제대로 알기 (1) | 2022.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