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로벌 경제/경제 지식

물가지수(CPI PPI PCE) 제대로 알기

by 고쟁이 2022. 10. 17.

 

 

안녕하세요. 고쟁이입니다.😎

 

오늘도 여러분이 자본주의에서 생존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물가지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CPI, Consumer Price Index)

정의: 도시에 거주하는 가계가 소비생활을 위해 구입하는 각종 상품/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작성되는 물가지수
미국 노동청(BLS, Bureau of Labor Statistics)에서 월간으로 발표(매월 둘째주경)
https://www.bls.gov/news.release/cpi.t01.htm

 

Table 1. Consumer Price Index for All Urban Consumers (CPI-U): U. S. city average, by expenditure category - 2022 M09 Results

Table 1. Consumer Price Index for All Urban Consumers (CPI-U): U. S. city average, by expenditure category Table 1. Consumer Price Index for All Urban Consumers (CPI-U): U.S. city average, by expenditure category, September 2022 [1982-84=100, unless otherw

www.bls.gov


주요 품목과 가충치

Expenditure category 가중치(Weight)
음식(Food) 13%
주거비(Shelter) 33%
에너지(Engergy) 7.4%
의료서비스(Medical care service) 7.0%
대중교통 서비스(Transportation service) 5.6%
신차(New vehicles) 4.1%
중고차와 트럭(Used cars and trucks) 4.2%

→ CPI에서 합산 20% 수준의 가중치를 가지는 음식료 에너지 가격은 단기적인 요인에 의한 변동폭이 매우 심하여 인플레이션의 장기적인 추세를 관찰함에 있어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이 항목들을 제외한 Core CPI를 더 신뢰성 있는 물가지수로 참고하기도 한다.

파랑: CPI(YoY) / 빨강: Core CPI(YoY)

https://fred.stlouisfed.org/graph/?g=UVkn

CPI 전월비 상승률

https://fred.stlouisfed.org/graph/?g=1e3Zq

 

참고로, CPI 주거비(Shelter) 항목은 1년 전의 임대료 호가 및 주택가격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미국의 임대료 및 주택가격은 미국 온라인 부동산 중개 업체 '질로우(Zillow)'에서 산출하는 데이터에 기반하므로, 질로우 임대료 지수(Zillow Home Value Index, ZHVI)는 CPI 주거비의 선행지표로 활용되는 점 기억하자.

파랑: 질로우 임대료 인덱스(ZHVI), 빨강: CPI 주거비 / 출처: FRED

https://fred.stlouisfed.org/graph/?g=114EY

 

생산자물가지수(PPI, Producer Price Index)

정의: 기업 간의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작성되는 물가지수이다. 도매 단계의 재화 물가를 측정한 지수로 원자재/중간재/최종재로 구분되며 주로 최종재 가격지수에 관심을 둔다.
 미국 노동청(BLS, Bureau of Labor Statistics)에서 월간으로 발표(매월 2주경)
https://www.bls.gov/news.release/ppi.toc.htm

 

Producer Price Index  - 2022 M09 Results

 

www.bls.gov

 

개인소비지출(PCE,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

정의: 가계 소비와 함께 가계를 위해 쓰이는 정부와 비영리 기관의 소비지출이 계산에 포함되며, Core PCE는 미국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에 있어 참조되어 매우 중요한 지표이다. 참고로 연준의 목표 Core PCE는 2.0%.
미국 경제분석국(BEA, Bureau of Econimic Analysis)
PCE와 CPI의 차이

구분 PCE CPI
CPI발행기관 Bureau of Econimic Analysis(BEA) Bureau of Labor Statistics(BLS)
조사대상 가계지출, 가계를 위한 정부와 비영리 기관의 소비 도시 소비자 지출
구성요소 변경 주기 분기별로 지출 구성이 바뀜 구성 요소 고정(2년마다 변경)
비중 설정 기준 기업 서베이를 토대로 현재 시점의 민간 소비지출액을 파악해 적용 가계 서베이를 토대로 과거 1~3년 동안의 지출 금액을 바탕으로 산출
비중 음식 14%, 에너지 4.3%, 의료서비스 17%, 주거비 18%, 대중교통 서비스 3.1% 음식 13%, 에너지 7,4%, 의료서비스 7%, 주거비 33%, 대중교통 서비스 5.6%

두 지표의 가장 큰 차이점은 CPI는 도시 가계의 소비만을 포함하지만, PCE는 가계소비와 함께 가계를 위해 쓰이는 정부와 비영리 기간의 소비 지출이 포함된다. 정부와 비영리 기관의 대표적인 소비는 의료비이다. 따라서, PCE가 CPI 에 비해 의료지출 항목 비중이 높은 데 반하여 거주비용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에서 두 물가 지표 비중 특성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물가 판단의 기준이 되는 품목 바스켓의 범위가 PCE가 더 넓어 경제 전반의 물가 수준을 판단하는데 보다 더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PCE의 경우 바스켓 비중을 분기단위로 조정하다보니 더욱 기민하게 소비 패턴 변화를 반영한다. 반면 CPI는 2년 마다 바스켓 비중이 조정되며, 그 또한 조정 시점의 비스켓 비중이 아닌 3년 가량 지연된 과거의 소비 패턴 정보를 활용한다.

파랑: PCE(YoY), 빨강: Core PCE(YoY) / 출처: FRED

https://fred.stlouisfed.org/graph/?g=114qv

PCE 전월비 증가율

https://fred.stlouisfed.org/graph/?g=1e40j

 

추가적인 CPI, PCE관련 지표

근원 물가지수는 단기적인 요인에 의한 변동성이 큰 농산물과 국제 원자재 관련 품목을 제외하여 추세적인 물가 상승률을 파악하기 위해 활용된다. 다만, 근원 물가지수는 필수재에 속하는 휘발유, 식품 등의 가격이 제외되므로 가계의 체감물가와의 괴리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연준에서 개발한 물가지표에는 Median, Trimmed Mean 등이 있다.

 Trimmed Mean PCE
· PCE 물가지수 구성항목에서 하위 24%와 상위 31% 항목을 제거한 나머지 항목을 가중평균하여 산출한다. 해당 지수에는 농산물과 에너지 등의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

https://fred.stlouisfed.org/graph/?g=UVpW

Trimmed Mean CPI
· CPI 물가지수 구성항목에서 하위 8%와 상위 8% 항목을 제거한 나머지 항목을 가중평균하여 산출한다. 해당 지수에는 농산물과 에너지 등의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


Median CPI
· CPI 구성 항목을 나열하고 중간 상승률 지표를 활용하여 산출

https://fred.stlouisfed.org/graph/?g=1e41a

 

 

Trimmed Mean CPI(파랑) / Median CPI(주황)

https://www.clevelandfed.org/indicators-and-data/median-cpi

 

Sticky CPI
· CPI 구성 항목 중 가격 조정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항목들을 가중평균하여 산출한다.

Sticky CPI less Food, Energy, and Shelter

https://fred.stlouisfed.org/graph/?g=114OU

 

 


 

제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그럼 모두 부자되시고,

저는 더 좋은 정보 가지고 돌아오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