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지표3

3/8 파월 연준의장 발언과 2월 경제지표 리뷰(ft. 고용지표, 물가지수) ① 현재 경제지표에 대한 진단 (매파적) 최근 발표되는 전체적인 경제지표가 예상치보다 더 좋아 최종 기준금리 수준이 이전에 예상한 것보다 더 높아질 수 있으며 전체적인 경제지표가 더 빠른 긴축정책이 정당하다고 가지킨다면 연준은 기준금리 인상의 속도를 높일 준비가 되어있다. 지난 데이터에서 지속적으로 관찰되던 둔화 경향을 뒤집고 1월에 발표된 고용, 소비, 생산 및 인플레이션 관련 경제지표는 여전히 인플레이션이 쉽게 꺽이지 않고 있음을 보여줬다. 이 결과와 관련해 일시적인 문제의 원인으로 "이례적으로 따뜻했던 날씨"를 언급했다. ② 주거비 제외 근원 서비스 인플레이션은 아직도 불확실성이 많이 남아 있다고 평가 파월은 과거 수차례의 연설에서 인플레이션을 평가하려면 '㉮근원 상품 인플레이션', '㉯주택서비스 .. 2023. 3. 13.
국내총생산(GDP) 이해와 GDP나우(NOW) 활용 안녕하세요. 고쟁이입니다.😎 오늘도 여러분이 자본주의에서 생존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GDP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GDP란? 먼저 국내총생산, 즉 GDP(Gross Domestic Product)의 개념을 알고 시작하자. GDP란, 일정 기간 동안, 한 나라 영토 안에서 생산된 최종생산물의 시장가치의 합계이며, 주로 아래 3가지로 분류한다. · 명목GDP = 해당연도 시장가격 × 최종생산물 ( 생산량 + 물가 상승률 반영 ) · 실질GDP = 기준연도 시장가격 × 최종생산물 ( 생산량만 반영) · 잠재GDP = 한 국가의 경제가 생산요소를 최대한 활용하여 달성할 수 있는 생산능력 보통 경제성장률을 이야기할 때에는 실질GDP를 활용한다. https://fred.stloui.. 2022. 10. 12.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지표 총정리 안녕하세요. 고쟁이입니다.😎 오늘도 여러분이 자본주의에서 생존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제지표를 총정리하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 주식 투자의 리스크 고유 위험(Unsystematic risk) 시장 위험(Systematic risk) 종목 자체적인 요인으로 주가 변동 시장 전반적인 요인으로 주가 변동 매출액, 손익, 컨센서스, 재무구조, CEO risk 등 성장률, 경기, 금리, 물가, 전쟁, 전염병 등 기업분석(기업실적, 재무구조 등)으로 판단 경제지표로 판단 ※ 주요 경제지표 발표일은 Economic Calendar를 참고 https://kr.investing.com/economic-calendar/ 1. GDP(Gross Domestic Product) · 정의: 한 .. 2022. 7.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