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로벌 경제/경제 지식

금리 기초 - 실질금리(TIPS), 명목금리

by 고쟁이 2022. 10. 30.

 

안녕하세요. 고쟁이입니다.😎

 

오늘도 여러분이 자본주의에서 생존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쉽고도 어려운 금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혹시나 미국 10년물 채권금리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궁금하시면 아래글이 도움될거에요.

 

미국 10년물 국채금리(장기금리) 상승 하락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경제지표

안녕하세요. 고쟁이입니다.😎 오늘도 여러분이 자본주의에서 생존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를 움직이게 하는 요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

tripforrich.tistory.com

 


실질금리 개념

 

  실질금리 = 명목금리 - 인플레이션율


명목금리는 쉽게 예금, 적금 등 금융상품을 가입할 때 표면적으로 적혀있는 모든 이자율이라고 생각하면 되고 여기에는 인플레이션율이 적용되어있지 않다. 그러므로 똑똑한(?) 투자를 위해서는 실질금리 개념을 잘 이해해야 한다.

예를들어, 명목금리가 1%인 예금을 가입하였는데 당시의 인플레이션율이 4% 수준이라면 실질금리는 [1% - 4% = -3%]로 실질적으로 -3%씩 손해를 보는 것이다. 이런 시기에는 현금을 보유하는 것 자체가 앉아서 돈을 까먹고 있는 행위이므로 부동산, 주식 등 다른 자산으로 바꾸는 것이 합리적이다.

여기서 인플레이션율은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지표가 아니므로 시기적절하게 파악할 수 없어 편의상 (기대)인플레이션율을 대신 활용한다. 여러 지표 중 (기대)인플레이션율을 파악하는 대표적으로 지수는 BEI(Breakeven Inflation Rate)이다.

  BEI지수 = 국채(명목)금리 - TIPS금리 ≒ 기대인플레이션율

※물가연동국채(TIPS) 란?

원금이 물가와 연동하여 움직이는 국채를 의미한다.
투자 원금에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뒤 그에 대한 이자를 지급하는 채권으로, 인플레이션이 일어나더라도 채권의 실질가치를 보전해준다는 점에서 대표적인 인플레이션 헤지 상품이다.

간략히 메커니즘을 설명하자면,

시장참여자들이 향후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것이라 예상 → 인플레이션 헷지를 위해 TIPS 매입 → TIPS 수요증가로 TIPS 금리하락 → BEI 지수 상승

즉, BEI 지수는 시장 참여자들이 베팅하는 TIPS 거래를 통해 기대인플레이션율을 측정


결국 위에 두 식을 섞어보면, '실질금리 ≒ TIPS금리' 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0년물 TIPS금리

https://fred.stlouisfed.org/graph/?g=Vp2z
2020년 ~ 2021년까지의 실질금리(TIPS금리)는 마이너스였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현금을 가지고만 있어도 손해를 보는 시기여서 현금을 다른 자산으로 바꾸고자하는 움직임이 활발했다. 알다시피 이 시기의 주식, 부동산 가격은 급등했다.

 


 

제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그럼 모두 부자되시고,

저는 더 좋은 정보 가지고 돌아오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