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로벌 경제/매크로 경제 이슈

[국제금융센터] '22 상반기 세계경제/국제금융시장 동향

by 고쟁이 2022. 7. 5.

2022년 상반기 세계경제 동향

 

▶ 슬로우플레이션(성장둔화+물가상승) 빠르게 진행

 • 금년 성장전망(IB) : 4.5%(`21.12월)→ 4.3%(`22.2월)→ 3.4%(6월)로 지속 하향

 • 금년 물가전망(Blmg) : 3.9%(`21.12월)→ 5.1%(`22.3월)→ 6.7%(6월)로 큰 폭 상향

 

▶공급제약·고물가 속 전쟁, 중국 봉쇄 등 악재 가중

 • 수요 부담 점증 : 고물가 지속되며 가계 구매력 잠식, 통화정책 정상화 가속

 • 공급 제약 가중 : 생산·물류 차질 지속 속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국 봉쇄 가세

 

▶최근 경제지표 흐름, 악화 추세 지속을 시사

 • 글로벌 경제지표 기대 미달, 가계·기업 신뢰 저하 등 경기선행지표 하향세

 • 물가상승세 예상 상회하며 높은 지속성, 통화긴축 등으로 금융여건 악화

 

 

공급 충격 지속, 서비스 수요 증가, 임금상승 압력 
물가압력의 빠른 해소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

전쟁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 상승압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공급망 차질도 장기화될 우려가 있다(+중국 봉쇄 재연 가능성 까지). 코로나 19 엔데믹 전환에 의한 서비스 부문 수요 확대 및 주요국 노동시장 호조의 결과가 서비스 부문 물가 및 임금 복격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22년 하반기의 핵심은 긴축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제어의 성공 여부일 것이다. 인플레이션 제어 실패 시 통화긴축 강도는 더욱 높아져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성장의 희생이 커질 것이다.

 

 


 

2022년 상반기 국제금융시장 동향

가뭄의 전조

 

① 주요국 통화긴축에 의해 글로벌 금융여건이 급속 위축 * 中,日,스위스 등 제외

  • 인플레이션(구매력 저하) · 통화긴축(유동성 감소)에 의한 실물경제 둔화 우려가 투자심리를 저해

② 역 유동성 환경 속, 글로벌 증권(주식ㆍ채권) 가격은 상반기 중 대부분 하락

  • 세계주가(MSCI)는 1/4일 사상 최고 기록 후 -19%. 미 국채금리(10년)는 연초 이후 급등 지속(+1.58%)
  • 달러인덱스는 안전자산 선호로 상승(+8.8%). 원자재는 추가 공급차질(러-우 전쟁, 중국 봉쇄)로 급등(+28%)

2022년 6월말, 주요 자산가격의 현 위치

 

③ 러-우 전쟁·중국 봉쇄의 금융시장 영향

 

상반기는 대체로 "인플레이션"이 가격 흐름을 주도했다.
(5월에는 "성장둔화"가 일시적 우세)

 

 

- 인플레이션: 통화긴축 가속화(금리↑), 구매력 저하(성장↓) 경로로 주식·채권 동반 약세에 영향

- 성장둔화: 경제활동 실적(성장률, 기업이익) 악화 및 부진 정도에 따라 주식 약세, 채권 강세에 영향

월별 경제, 금융지표 변화

 

 

 

 

 

출처: 국제금융센터, 2022년 하반기 세계 경제ㆍ금융시장 전망 및 주요 이슈

(https://www.kcif.or.kr/front/board/boardView.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