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재무제표의 부채와 연관된 3가지 투자지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①부채비율, ②이자보상배율, ③순부채비율
들어가기 앞서 부채의 세부 항목에 대해 소개한 포스팅을 미리 읽으면 도움이 돼요.
재무제표를 활용한 기업분석 - 부채편(유이자부채와 무이자부채)
이번 포스팅에서는 재무제표의 부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유이자부채와 무이자부채로 나누어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기업의 자금 조달 방법 부채를 통한 조달 부채로 조달하는
tripforrich.tistory.com
부채비율
부채비율은 자금조달에서 자기자본 대비 부채를 얼마나 많이 발생시켰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예를 들어 자기자본으로 50억, 부채로 50억을 조달했다면 부채비율은 100%다.
부채비율 = 부채총계 / 자본총계
부채비율은 물론 낮을수록 좋지만 업종에 따라 적정 부채비율이 다를 수 있으니 여러 기업을 비교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부채는 절대규모도 중요하지만 방향성이 더 중요하는 것을 명심하자. 부채비율이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기업에 투자하는 것은 위험하다.
이자보상배율
부채에는 이자를 내야하는 유이자부채와 이자를 낼 필요없는 무이자부채가 있다. 유이자부채는 손익계산서의 금융비용과 연관이 있기 때문에 중요하게 살펴봐야 한다. 이와 관련된 지표가 이자보상배율이며 영업이익이 이자비용의 몇 배인가를 의미한다.
이자보상배율 = 영업이익 / 이자비용
이자보상배율이 1이라면 영업이익으로 이자 밖에 내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업이 영업을 통해 수익이 나면 손익계산서 상 채권자(금융비용), 정부(법인세), 주주(당기순이익) 순으로 이익을 나눠주게 되는데 이자보상배율이 낮은 회사는 미래를 위한 설비투자는 커녕 주주에게 돌려줄 배당 조차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 셀트리온의 23년 3분기까지의 손익계산서를 살펴보면 이자보상배율이 60이상으로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순차입금(순부채)
◾ 순차입금(순부채) = 차입금 - 현금 및 예금
차입금이란 이자를 내는 부채다. 차입금에서 회사가 보유한 현금과 예금을 차감한 것을 의미 순차입금(순부채)이라 정의한다. 이는 유이자부채를 회사가 보유한 현금과 예금으로 다 갚았을 때 남는 차입금을 의미한다.
순차입금이 마이너스라는 것은 회사에 자금이 넉넉하여 안정성이 뛰어나다는 의미이고 순차입금이 큰 회사일수록 금리상승기에 금융비용이 증가하여 수익성이 악화될 것이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반대로 순차입금이 마이너스이거나 작은 회사는 금리상승에 따른 순이익 영향이 적을 것이란 것을 알 수 있다.
◾ 순현금 = 현금 및 예금 - 차입금
회사가 보유한 현금 및 예금으로 유이자부채를 다 갚았을 때 남는 현금
◾ 순차입금(순부채)비율 = 순차입금(순부채) / 자본총계
대체로 순차입금비율이 20% 이하면 바람직
◾ 현금비율 = 현금 및 예금 / 유동부채
유동부채를 전부 갚을 수 있는 현금과 예금이 얼마나 되는지를 의미
1년 안에 갚아야 할 빚을 회사가 보유한 현금으로 갚을 수 있는 능력을 수치화
금리가 올라갈 때 이자부채를 많이 쓰는 기업은 금융비용이 증가하고 수익성은 나빠진다. 반대로 순차입금이 마이너스인 기업은 금리가 상승해도 순이익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투자 시점이 고금리(금리 상승기)일 경우, 투자하고자 하는 기업의 순차입금(순부채), 순차입금비율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럼 모두 부자 되시고,
저는 더 좋은 정보 가지고 돌아오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태크∙투자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상증자, 무상증자, 액면분할(재무제표를 활용한 기업분석 자본편) (1) | 2024.02.16 |
---|---|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항목,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재무제표를 활용한 기업분석 자본편) (0) | 2024.02.15 |
유이자부채와 무이자부채 구분하기(재무제표를 활용한 기업분석 부채편) (1) | 2024.02.13 |
2024 이상우X당부쌤 부동산대전망 후기 (4) | 2024.01.29 |
유동자산, 비유동자산, 재고자산, 매도가능금융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재무제표를 활용한 기업분석 자산편) (0) | 2024.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