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OE2

현금배당과 주식배당 그리고 자기자본이익률(ROE) (재무제표를 활용한 기업분석 자본편) 2024.02.16 - [제태크∙투자 지식] - 유상증자, 무상증자, 액면분할(재무제표를 활용한 기업분석 자본편) 2024.02.15 - [제태크∙투자 지식] -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항목,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재무제표를 활용한 기업분석 자본편) 2024.02.16 - [제태크∙투자 지식] - 유상감자, 무상감자, 자본잠식, 감자차손, 감자차익(재무제표를 활용한 기업 분석 자본편) 2024.02.17 - [제태크∙투자 지식] - 자사주 매입의 의미와 자사주 처분, 자사주 소각(재무제표를 활용한 기업분석 자본편) 이번 포스팅에서는 현금배당과 주식배당 그리고 배당과 자기자본이익률의 관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현금배당✔ 현금배당 시 재무제표 변화 현금배당률은 이사회에서 결정하고 주주총.. 2024. 2. 18.
PER, ROE 제대로 알기 안녕하세요. 고쟁이입니다.😎 오늘도 여러분이 자본주의에서 생존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PER과 POR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PER(주가수익비율) = 시가총액(미래) ÷ 당기순이익(과거) · PER = 주가 ÷ EPS(주당순이익) = 100 ÷ 기대수익률(%) · 시가총액 = 주가 × 주식수 (미래) · 당기순이익 = 과거의 이익 (과거) 미래의 가치를 과거의 가치로 나누어 준 것이 PER이다. 즉, 시가총액은 미래가 반영되어있고 당기순이익은 미래가 반영되어있지 않다. 두 항목의 시점이 다르기 때문에 왜곡이 일어나 적정 PER가 몇인지 파악이 어려워진다. 시점을 맞추어 주어야 적정 PER을 찾을 수 있다. PER(미래) = 시가총액(미래) ÷ 순이익(미래) 순이익이 얼마나.. 2022. 6. 27.